분류 전체보기24 행동 경제학 1편 - 휴리스틱, 각종 유형과 메타 휴리스틱 기법 갑자기 즉흥적으로 어떤 것을 구매하게 된 경험이 없으신가요? 아니면 혹시 시발 비용을 내신 적은 없으신가요? 시발 비용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았다면 쓰지 않았을 비용을 일컫는 신조어입니다. 비속어가 섞인 신조어이기에 지상파에서는 홧김 비용이라고 많이 순화되는데, 홧김에 시킨 배달 음식, 짜증이 나서 탄 택시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이 인간 행동이 경제적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경제학이 행동 경제학입니다. 행동 경제학이란? 행동 경제학이란 개인과 조직이 의사결정을 내리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경제학, 심리학 및 신경과학의 통찰력을 결합하는 연구 분야입니다. 행동 경제학은 경제 심리학이라고도 불리며, 이성적이며 이상적인 경제적 인간을 전제로 한 전통적인 경제학이 아닌 실제적인 인간의 행동.. 2023. 2. 4. 게임이론 2편 - 게임의 유형과 분류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시간에 이어 “게임이론”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임이론은 또 어떻게 분류되며, 각각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협조적 게임과 비협조적 게임 단어 자체에서도 예상하실 수 있듯이, 협조적 게임은 게임 참여자들이 구속력 있는 약속을 맺을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법적 규제가 있어, 이를 지키는 참여자들 간의 게임이 그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협조적 게임에서는 종종 참여자 간의 의사소통이 허용됩니다. 반면에, 이와 반대인 비협조적 게임은 의사소통 조차 허용되지 않습니다. 제로섬 게임과 논-제로섬 게임 많은 분이 이미 들어보셨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제로섬 게임. 제로섬 게임은 두 사람이 얻는 이익의 합이 0이 되기에 제로섬이라고 불립니다. 제.. 2023. 2. 4. 게임이론 1편 - 기본 개념과 형태 혹시 게임 좋아하시나요? 어렵게만 느껴지는 경제학에도 게임이라는 개념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는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이름부터 흥미로운 “게임이론”에 대해 설명해 드리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게임이론이란? 게임이론은 둘 이상의 개인이나 조직이 상호작용하는 상황에서의 의사 결정을 연구하는 수학적 이론입니다. 상호작용하는 상황이란, 한 개인이나 기업이 어떠한 행위를 하였을 때, 그 결과가 마치 게임과 같이 자신만이 아닌, 다른 참가자의 행동에 의해서도 결정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 주체는 자신의 최대 이익에 부합하는 행동을 추구한다는 이론이 바로 게임이론입니다. 게임이론의 목표는 이처럼 결과가 상호 의존적인 상황에서 개인이나 조직이 어떻게 선택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선택이 어떻게 각.. 2023. 2. 4. 한계적 사고와 한계효용, 체감 법칙과 균등 법칙 우리들은 끝없는 선택과 결정의 연장선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각자 어떠한 사고방식으로 결정을 내리는 걸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경제학의 한계효용 이론과 한계적 사고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계효용"이란? 한계효용이란 재화나 용역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주관적으로 매겨지는 경제적 효용 가치의 양을 상정한 용어입니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욕구를 충족하는 일을 우선순위에 두는 특성이 있기에, 주관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욕망 충족의 정도 즉, 효용 가치가 높은 쪽부터 낮은 쪽으로 추구한다는 것에 입각한 개념입니다. 경제학자들이 이를 가격 결정을 설명하는 법칙에 이용하고자 하였습니다. "한계적 사고"란? 한계적 사고.. 2023. 2. 2. 이전 1 2 3 4 5 6 다음